대기관리모형연구 (Studies in Air Quality Modeling) 대기오염의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대기오염모델링의 원리와 활용방안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또한 대기 질 관리를 위한 대기관리정책의 수립과 평가과정에 대한 절차와 기법을 연구한다.
유해폐기물처리특론(Special study on Hazardous Waste Treatment) 중금속 함유 유해폐기물 및 잔류유기성 화합물 등 유해물질에 대한 적정관리기법과 처리기술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주요 테마에 대한 자료조사, 발표 및 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온실가스배출연구 (Studies in Greenhouse Gas Emission) 기후변화의 원인 물질인 온실가스에 대하여 배출원에 따른 배출 특성과 배출량 산정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그리고 배출계수를 활용하여 국내 사례의 배출량 산정을 실습하고 온실가스 배출목록체계의 작성 방법을 연구한다.
환경 열공정 세미나 (Environmental Thermal Process Seminar) 고온에서 처리가 요구되는 고체연료 및 고형폐기물 시료, 액체연료 및 액체폐기물 시료 등의 열분해, 가스화, 소각 및 용융 등에 관련된 각 항목들에 대해서 자료조 사, 발표 및 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환경열공정연구(Environmental Thermal Process Study) 고온에서 처리가 요구되는 고체연료 및 고형폐기물 시료, 액체연료 및 액체폐기물 시료 등의 열분해, 가스화, 소각 및 용융 등에 관련된 각 항목들에 대해서 최신동향 자료조사, 발표 및 토론 등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수질모델링연구(Research on Water Quality Modeling) 우리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질모델에 대하여 학습하고 특정한 수질모델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하나의 유역에 적용하는 실습을 한다.
하수고도처리연구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관련분야 전문가 초청강의 및 세미나, 토론 등을 통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기술의 현황과 향후 전망 등을 학습하고 기술의 발전방향을 조명한다.
일반폐기물처리연구 (Solid Waste Treatment Study) 일반폐기물의 전처리, 중간처리, 최종처분 방법에 관한 이론과 현장적용시의 문제점에 대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산업생태학특론(Advanced Industrial Ecology) 경제-환경 상호작용에 관한 사고의 접근방법으로 산업생태학의 개념을 배우고 물리적, 생물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틀을 다루면서 이 학문의 역할분야를 공부한다. 범위는 제품에서 공정, 기업, 산업단지 그리고 지구시스템을 다룬다.
청정기술특론(Advanced Clean Technology) 합리적 경험과 기술개발을 통해 오염물의 방출을 최소화하는 청정생산기술의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산업과 연계하여 이의 적용에 대하여 배운다.
생물학적처리연구 (Research of biological treatment) 생물학적 오염처리 방안으로서 하수처리기법, 생물정화기법, 생물전지, 그리고 해양생태계의 생물공학적 적용 분야 등을 알아본다.
자연환경생태복원연구(Research of restoration ecology) 자연환경복원으로서 생태복원이론과 경관생태학 및 보전생태학의 이론과 개념을 알아본다. 또한, 훼손지역 및 특수 생태계에 대한 생태복원의 실제적 사업내용을 알아본다.
고급통계연구(Application of Advanced Statistics) 통계적인 기법을 특정한 연구과제에 응용하는 실습을 하며 우리나라에서 소개된 통계프로그램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정대기오염물질연구(Hazardous Air Pollutants Study) 공정 및 일반 대기 중에 존재하는 특정대기오염물질의 발생기구, 특성 및 처리기술 등에 관한 현상을 파악하고, 관련 공정의 해석 및 응용에 관한 내용 등을 강의한다.
비점오염원처리특론 (Non-point Sources Treatment) 비점오염의 현황과 국내․외 상용화된 처리기술, 오염부하량 산정 및 원단위 계산, 오염 부하량 삭감계획 등을 학습한다.
지하수/토양오염처리특론(Special study on Groundwater/Soil Remediation) 토양 및 지하수 내의 오염물질 이동 메카니즘을 비롯하여 오염된 지하수/토양의 정화기술을 강의하고, 주요 테마에 대한 자료조사, 발표 및 토론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폐기물에너지연구 (Waste and Energy Study) 폐기물 소각 시 발생되는 열, 열분해 및 용융 공정과 가스화공정에서 발생되는 연료가스의 발생기전과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환경공학세미나 1 (Environmental Engineering Seminar 1) 대기. 수질. 고형폐기물 관리 등 환경문제 전반에 걸쳐 선택개별과제의 토론 및 해설 등을 다룬다.
환경공학세미나 2 ( Environmental Engineering Seminar 2) 교과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환경공학분야의 최근문제와 동향 전반에 걸쳐 선택 개별 과제의 토론 및 해설 등을 다룬다.
신재생에너지특론(Advanced Study on Reprocessing Energy) 바이오가스, 바이오디젤 등 바이오연료화 기술, GTL (Gas to Liquid) 전환기술, 지열 회수기술, 매립가스 회수기술, 하수폐열 회수기술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강의를 진행한다.
환경전달현상특론(Advanced Environmental Transport Phenomena) 유체, 열 및 물질전달 현상의 기본이론 및 전달관련 방정식을 이용하여 환경공정의 이동현상을 규명함으로서 수질, 대기, 폐기물 등과 관련된 공정의 해석 및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지구환경론(Introduction To Global Environment) 지구를 하나의 생태계로 보고서 지구 차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가지 자연과학적, 사회과학적 측면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학습한다.
환경공정제어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Process Control) 환경단위 공정변수의 계측 및 제어방법, 제어기기의 이론과 응용, 환경공정 및 설비제어의 특성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제 현장적용 등을 학습한다.
대기모델링특론(Advanced Air Pollution Modeling) 대기오염 확산과 관련된 대기안정도와 바람, 도시대기의 특성 등 미기상학적 지식과 대기오염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대기오염모델을 이용한 사례연구와 세미나를 통하여 대기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일반폐기물처리특론(Advanced Solid Waste Treatment) 일반폐기물의 전처리, 중간처리, 최종처분 방법에 관한 연구와 현장적용시의 문제점에 대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토의한다.
유해폐기물특론(Advanced Hazardous Waste Management) 유해폐기물 정의 및 특성, 발생량, 감량화/안정화 기법, 유해폐기물 무해화기술, 즉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 열적처리 공정 및 시스템 설계 등을 대상으로 강의한다.
산업생태학 (Industrial Ecology) 산업생태학의 개념이해, 산업과 환경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평가 및 영향분석기법 을 파악하며 환경 친화적 산업공정설계 및 제품생산을 위한 산업생태학의 응용에 관하여 강의한다.
토양오염처리 특론 (Advanced Soil Remediation) 토양오염의 종류.특성 및 오염원에 대한 이해와 오염물질의 토양내 축적, 용탈유 실 고정 토양오염의 종류, 특성 및 오염원에 대한 이해와 오염물질의 토양 내 축 적, 용탈유실, 고정 및 이동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오염토양의 정화기 술에 관하여 강의한다.
토양오염특론(Advanced Soil Remediation) 토양오염의 특성 및 오염원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오명물질의 토양 내 축적, 용탈, 고정 및 이동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오염 토양의 정화 기술에 관하여 강의한다.
전과정평가 및 에코디자인 특론 (Advanced Lifecycle Assessment and Ecodesign) 전과정평가 방법을 통하여 제품, 인프라, 서비스 등의 환경성을 분석/평가하는 기법을 배우고 이를 설계에 접목시켜 환경성을 개선하는 친환경설계에 대해 배운다.
지속가능성 환경공학 특론(Advanced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Engineering) 미래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우리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패러다임의 환경공학을 배운다. 공학에 국한하지 않은 과학, 사회 그리고 문화의 틀 속에서 환경공학을 접근한다.
자연환경생태복원특론(Advanced environmental restoration ecology) 환경기술의 한 분야로 환경적으로 파괴적이며 비용이 많이 드는 전통적 사업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원을 이용하고자 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기초연구를 위한 기법으로 생태적으로 접근한다.
환경영향평가특론(Topic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관심이 있는 분야에 관하여 부분적으로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할 때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 등을 학습한다.
환경열공정특론(Advanced Environmental Thermal Process) 고온에서 처리가 요구되는 고체연료 및 고형폐기물 시료 등의 기체 및 고체 반응, 열전달 현상 등을 규명하고 관련 공정의 해석 및 응용에 관한 내용 등을 강의한다.
대기오염배출특론 (Advanced Air Pollution Emission) 대기오염 배출원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 특성과 배출량 산정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그리고 배출계수와 배출모델을 활용하여 배출량 산정과정을 실습하고 배출목록체계의 작성 방법과 관리 방안을 학습한다.
폐기물에너지특론(Advanced Waste and Energy) 폐기물 소각 시 발생되는 열, 열분해 및 용융 공정과 가스화공정에서 발생되는 연료가스의 발생기전의 기초이론과 활용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생물학적처리특론 (Advanced biological treatment) 산업화와 더불어 더욱 심각해지는 환경오염문제를 보다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생물학적 오염제어 방법의 기본 원리와 미생물의 물질대사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환경세미나 1 (Environmental Seminar 1) 대기. 수질. 고형폐기물 관리 등 환경문제 전반에 걸쳐 선택개별과제의 토론 및 해설 등을 다룬다.
환경세미나 2 (Environmental Seminar 2) 교과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환경공학분야의 최근문제와 동향 전반에 걸쳐 선택 개별 과제의 토론 및 해설 등을 다룬다.
|